졸방제비꽃
내 안에 핀 꽃 2007/05/04 00:05 두두지
<졸방제비꽃>
왜 졸방일까? 졸방이 무슨 뜻일까? 아무리 찾아봐도 찾을 수가 없군요.
사전에서도 졸방이란 말 뜻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.
보통은 이름에서 형태나 의미를 알 수 있는것이 일반적인데 졸방제비꽃도 분명 그렇겠지요.
하지만 여기저기 검색해봐도 찾아내기가 힘들군요.
혹시 아시는 분이 계시면 댓글에 알려주세요.
![]() <졸방제비꽃> | ![]() <졸방제비꽃> |
<백과사전>
키는 30cm 정도 자라며 뿌리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곧게 선다. 잎은 어긋나는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움푹 패어 있다.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들이 있으며, 잎자루 아래쪽 끝에는 빗살 같은 톱니가 있는 턱잎[托葉]이 달린다. 흰색 또는 연보라색의 꽃은 5~6월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 1송이씩 핀다.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,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. 낚시제비꽃(V.grypoceras)은 비슷하지만 약간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누워 자라는 줄기에 털이 없다.
<국어사전>
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. 높이는 3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이다. 5~6월에 연한 자주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(

졸방제비꽃이 연한 자주색의 꽃이 대부분인데 흰색 졸방제비꽃도 있네요.
제비꽃은 종류만도 60여종이 넘고 변이도 정말 다양하군요.
아직도 입안에서 맴돕니다.
졸방~ 졸방~ 졸방~ 졸방~ 무슨 의미일까? 지방사투리인가?
풀리지 않는 졸방~ 졸방~
자주색 졸방제비꽃도 같이 올려 드립니다.
![]() <졸방제비꽃> | ![]() <졸방제비꽃> |
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. 며칠 전 산행길에서 제비꽃을 만났는데,
그냥 제비꽃 중의 한 종류라고 얼버무릴 수 있었던 건 전적으로]
이놈이 종류가 아주 많다는 걸 간신히 기억했기 때문이었지요...
그런데 청송의 과수원에 지천으로 핀 민들레는 다른 잡풀의 자람을 억제하고
지력을 증진시켜 준다는데, 자연의 섭리란 이렇게 불가사의하더군요...
민들레가 잡풀자람을 억제하고 지력을 증진시켜준다는 이야기를 얼핏들었는데 사실이었군요.
주변에서 아주 쉽게 볼 수 있는 제비꽃들이 제각기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데 그냥 제비꽃이라고 부르려니까 미안한 느낌도 들더군요.
지금도 전에 이름불렀던것이 잘못되어서 다시 고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아직은 초보입니다.